사랑하는 반려견이 슬개골 탈구가 생긴다면 정말 힘들고 고통스러울 것이다.
뒷다리를 절뚝 거리며 다니는 모습을 보면 슬개골 탈구의 대표적인 증상이라는 것을
보호자는 반듯이 알아야 한다. 반려견이 슬개골 탈구가 생겨도
영야제 섭취와 주기적인 마사지를 통해 예방과 치료가 가능하니
참고하길 바란다.
1. 강아지 슬개골 탈구란?
반려견의 무릎뼈를 슬개골이라 한다. 슬개골은 무릎 관절이라 반려견의
앞다리에는 없으며, 뒷다리에서 보이는 증상이다. 슬개골 탈구란
반려견 뒷다리의 무릎 뼈가 반려견 몸 안쪽으로 또는 바깥쪽으로 빠지는
증상을 말한다.
2. 강아지 슬개골 탈구 증상 및 원인
1) 유전적 원인
가장 많이 나타나고 흔한 원인은 유전이다. 반려견이 유전적으로
대퇴근육 문제 그리고 슬개골이 올라가는 도르래고랑이 얇기 때문에
이런 증상이 나타난다고 한다.
2) 외상으로 인한 원인
흔하지는 않지만 외부 충격으로 슬개골 탈구가 생기기도 한다.
강아지들은 높은곳에서도 망설임 없이 뛰어내리고 뛰어다니고
또 점프도 하고 그러는데 점프 밑 뛰어내렸을 때 착지하면서
슬개골 탈구가 되는 경우가 간혹 있다고 한다. 보호자는 이런 부분을
주의하여야 한다.
3. 강아지 슬개골 탈구 증상과 치료법
강아지 슬개골 탈구에는 1기, 2기, 3기, 4기로 나누어진다.
1) 1기
1기는 예방 및 주의하는 단계이다. 슬개골이 아직은 제자리에 있어
심한 단계는 아니지만 그래도 주의가 필요한 단계이다.
1기의 치료법으로는 다행히 예방만 잘해주어도 된다. 정기적으로
병원에 내원하여 건강검진을 통해 사랑하는 반려견의 슬개골이 탈구되지
않도록 주기적으로 확인해주어야 한다.
2) 2기
슬개골 탈구 2기는 통증이 심한 단계로 보면 된다.
통증이 제일 심하게 느껴지는 단계라고 한다. 2기에서는 반려견이 걷거나
뛸 때 슬개골이 탈구되었다 다시 들어갔다 반복적이기 때문에 강아지가
엄청난 고통과 통증을 느낀다고 한다. 사랑하는 반려견이 까치발 혹은
뒷발을 살짝 들고 있는 모습이 자주 보인다면 2기를 의심해봐야 한다.
2기에는 보호자가 반려견을 안았을 때 또는 다리를 만져주었을 때
뼈가 분리되는 소리나 느낌이 있을 수 있다.
2기의 치료법은 수술을 고민해봐야 한다. 절뚝거림은 물론 뒷 발을 들고 있고
굉장히 심한 통증이 있다. 이렇게 종합적으로 강아지를 진단하여 수술을
진행할지, 말아야할지 전문의와 상의 후 교정을 해주어야 한다.
3) 3기
3기의 경우 반려견의 슬개골이 완전히 빠져있다. 2기보다 통은 덜하다고 한다.
병원이나 전문의다 진단을 위해 슬개골을 제자리에 넣어도 바로 빠지는 단계이다.
통증은 덜하지만 문제는 슬개골이 아예 빠져있기 때문에 뒷 발이 점점 몸 안쪽으로
돌아가는 증상이 있다. 이뿐 아니라 반려견의 엉덩이가 바닥으로 점점 내려오면서
반려견이 다리에 힘을 점점 못주게 된다고 한다. 2기보다 통증이 덜하기 때문에
보호자들은 괜찮아진줄 알고 방치하는 경우가 있다고 한다.
3기의 경우 딱히 다른 치료법은 없다. 무조건 수술을 해야 한다.
4) 4기
4기는 탈구가 오래 방치된 상태라 뒷다리의 인대와 근육 변형이 심하게 온 상황이다.
전문의들이 진료 및 치료를 위해 억지로 넣으려 하여도 슬개골이 절대 원 위치로
돌아가지 않는 단계이다. 이뿐 아니라 4기 정도가 되면 반려견의 뒷다리 전십자인대가
끊어져있을 확률이 굉장이 높다.
4기 치료법 역시 무조건 수술을 진행하여야 한다.
수술 비용은 각 병원마다 다르겠지만. 평균적으로 한쪽 다리에 100만 원~300만 원이라고 한다.
증상과 상황 경증에 따라 다르지만 여러 병원에서 진료를 받아보는걸 추천한다.
4. 재활치료냐 영양제로 치료가 가능할까?
슬개골 탈구는 결코 간단한 문제가 아니다. 사랑하는 반려견의 근육과 뼈 등등 내부에 구조적인
문제이기 때문에 전문의가 수술을 권한다면 빠르게 수술하여 치료해주는것이 좋다.
이렇게 치료는 어렵지만 수술 후 관절염과 통증을 예방하기 위해 영야제는 섭취시키고
주기적으로 마사지를 해주면 좋다.
5. 슬개골 탈구 예방법
1) 발털 및 발톱 정리
사랑하는 반려견의 발 털을 대수롭지 않게 생각하시는 보호자분들이 많다고 한다.
하지만 발털이 길면 강아지는 미끄러워 지기 쉽다. 미끄러워지면 슬개골 탈구에 원인이
될 수 있으므로 발 털과 발톱은 깔끔하게 정리해주는 것이 좋다.
2) 체중조절
가벼운 반려견들도 걸리긴 하지만 대체적으로 체중이 많이 나가는 반려견들이
슬개골 탈구 될 가능성이 높다고 한다. 사랑하는 반려견에게 이것저것 먹이고 싶은 마음은
알지만 반려견의 건강을 위해 체중조절을 필수이다.
3) 점프
점프는 반려견에게 정말 안 좋다. 그러므로 침대나 소파 등등 강아지가 자주 오르락내리락
하는 곳에는 강아지 전용 계단을 설치해주면 좋다.
4) 산책과 운동
주기적으로 산책과 운동을 시켜 반려견의 근육을 길러주면 예방에 도움이 된다.
특별히 운동이라기 보다 꾸준하게 주기적으로 산책만 잘 시켜줘도 반려견의
뒷다리 근육이 무릎 뼈를 잡아주기 때문에 예방에 도움이 된다고 한다.
슬개골 탈구가 심한 반려견은 오히려 독이 될 수 있으니 적당한 시간 산책시켜주길 바란다.
이렇게 슬개골 탈구에 대해 정리해봤다. 사랑하는 반려견이 고통스럽지 않고
행복하게 잘 지낼 수 있도록 위 예방법으로 잘 관리를 해주길 바란다.
'강아지 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강아지 먹으면 안되는 음식 (0) | 2021.06.28 |
---|---|
강아지 물 섭취량 (0) | 2021.06.25 |
강아지 양치 (0) | 2021.06.21 |
강아지 목욕 주기와 방법 (0) | 2021.06.15 |
강아지 항문낭 짜기 (0) | 2021.06.14 |
최근댓글